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권우상 칼럼 = 사업가는 장사꾼 여불위를 닮아라

 

 

 

 

 

칼럼

 

 

                사업가는 장사꾼 여불위를 닮아라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중국 전국시대 말 한(韓)나라의 장사꾼인 여불위(呂不韋)는 조(趙)나라의 도읍인 한단(邯鄲)에 무역(貿易)을 하려 갔다가 우연히 자초(子楚)가 이곳에 와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당시 자초는 조나라에 불모로 잡혀 있는 신세였다. 최고의 장사꾼인 여불위의 머리에는 기발한 생각이 떠 올랐다. “이보다 더 좋은 기회가 어디 있겠는가. 사두면 훗날 큰 이익을 얻게 될 것이 분명하다.” 여불위는 곧바로 폐허가 된 초가에서 빈곤하게 살아가고 있는 자초를 찾아갔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귀공의 부군이신 안국군(安國君)께서는 멀지 않아 소양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를 것이 분명합니다. 하지만 정빈(正嬪)인 화양부인(華陽夫人)에게는 왕자로 이어갈 소생이 없습니다. 그러면 귀공을 포함해서 20명의 서출(庶出) 왕자 중에서 누구를 태자로 세울까요? 솔직히 말해서 귀공은 결코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건 그렇소만 어쩔 수 없는 일이 아니오.” “걱정 마십시오. 나에게는 천금(千金)이 있습니다. 그 돈으로 화양부인에게 선물을 하여 환심을 사고 또 널리 인재를 끌어 모으십시오. 소인은 귀공의 귀국을 위해 조(趙)나라의 고관 대작들에게 뇌물을 주어서라도 손을 쓰겠습니다. 그리고 귀공과 함께 진(秦)나라로 가서 태자로 책봉되도록 전력을 다 하겠습니다.” 그러자 자초가 말했다. “만약 일이 성사되면 그대와 함께 진나라를 다스리도록 하겠소.” 상당한 권력을 주겠다는 말이다.

 

여불위는 성관계를 해서 자기 자식을 잉태한 애첩(愛妾)인 조희(趙姬)를 자초에게 양보하여 그를 완전히 손아귀에 넣은 뒤 재력과 능숙한 달변(達辯)으로 자초(子楚)를 태자로 책봉하는데 성공했고, 자초는 왕위에 올랐다. 이 분이 장양왕(莊襄王)이다. 장양왕은 장사꾼 여불위를 재상에 임명했으며, 자초의 애첩인 조희(趙嬉)가 낳은 아들 정(正)은 훗날에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되었다. 장사꾼인 여불위는 기화가거(奇貨可居)를 이용하여 인생 최고의 배팅에 성공한 것이다. <奇 : 기이할 기, 貨 : 재물 화, 可 : 옳을 가, 居 : 살 거>의 기화가거(奇貨可居)라는 이야기는 사기(史記)에 수록된 여불위열전(呂不韋列傳)에 나온다. 진귀한 물건을 사두었다가 훗날 큰 이익을 얻게 한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좋은 기회를 기다려 큰 이익을 얻는다는 뜻이다. 오늘날에도 사업가라면 생각이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장사꾼은 늘 이익에만 몰두하면서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사업에는 경쟁자가 있기 마련이다. 경쟁에서 싸워서 이기려면 자세부터 진지해야 한다. 특히 라이벌과의 싸움보다는 자신과의 싸움에서 실패하는 직원을 가진 사업체는 라이벌 업체에 패할 수 밖에 없다. 기업이 적자를 내는 것은 최악이다. 따라서 전 직원은 이런 최악이 없도록 혼신의 열정을 쏟아내야 한다. 기업의 적자는 인간에게 비유하면 출혈상태인데, 출혈 때문에 혈액이 부족해지면 오래 살아갈 수 없다. 적자를 흑자로 호전시키기 위해서는 이 제품만은 세계에서 1등을 한다는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일본에서는 1등을 이치반(一番)이라고 한다. 사업주에게 이런 결의가 없으면 경쟁에서 승리할 수 없다. 따라서 사업주는 이것만은 내가 세계 최고의 일인자라는 실력과 기능을 쌓아야 한다.

 

일본의 사업자들은 항상 자신이 ‘이치반(一番)’이란 자부심’을 갖고 있다. 같은 우동, 김밥이라도 자기 상점의 우동, 김밥 맛이 이치반(一番)이라고 선전한다. 먹어 보고 맛이 이치반(一番)이면 그 가게로 손님이 몰린다. 그렇지 않으면 살아날 수 없다는 것이 일본 사업가의 인식이다. 그러다 보니 할아버지, 아버지, 아들, 손자로 대물림하는 사업체가 수두룩하다. 노하우가 축적돼 경쟁력이 생긴 것이고, 남보다 많은 기술을, 남보다 많은 경험을, 남보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사업가는 장사꾼 여불위가 기화가거(奇貨可居)을 이용한 것처럼 좋은 기회를 잡아야 한다.

 

기업경영을 하다보면 열심히 생각해서 해도 실수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실수와 실패는 다르다. 외환위기를 만나거나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생각하지 못한 악재를 만나면 순식간에 기업경영이 어려워지기 십상이다. 이런 것은 하늘의 뜻, 즉 천운이다. 하지만 기업이 이러한 천운만으로 곤경에 빠지는 것은 아니다. 실수가 반복되면 실패한다. 실패할지 성공할지 여부는 경영자 운명의 영역이다. 인간이 아무리 열정을 다해도 그 결과는 운명에 맡길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실수는 그렇지 않다. 조금만 더 노력하고 심사숙고 했다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실수다.

 

그렇다면 기업경영자들은 왜 실패를 하는가? 그것은 바로 ‘비즈니즈’의 맥(山의 山脈처럼)을 몰라서 실수가 반복되기 때문이다. 기업체에서 성장한 인사전문가∼영업전문가∼기술전문들은 대부분 외길로 성장해 왔음을 의미하는 것이지 기업경영의 전문가는 아니다. 외길에서만 성장해 온 이들은 기업경영이라는 상황을 총체적 안목에서 조망해 볼 학습기회를 갖지 못해 광활한 바깥 세상의 급변사태를 신속히 감지할 만큼 능력이 부족한 탓에 세상과 기업사이에 단절이 생기게 된다. 또한 다른 기능들과의 내부적 연계가 원활하지 못해 조직내부의 협력이 와해될 수 있다. 권위로 억압하면 조직은 움직이겠지만 피상적인 협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 경영자가 이런 문제를 신속히 해결하지 못하고 누적되면 기업은 곤궁에 빠진다. 혹여 경영자가 알아도 혼자 마음에서 고민하다 보면 경영에 큰 실수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경영자는 실수를 하지 말아야 한다. 실수가 반복되면 기업은 실패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