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권우상 칼럼 = 돈의 탐욕에는 끝이 없는가?

 

 

 

 

칼럼

 

 

                           돈의 탐욕에는 끝이 없는가?

 

 

                                                     권우상

                                        사주추명학자. 역사소설가

 

 

우리 속담에 ‘개같이 벌어서 정승같이 쓰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이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무한욕망적 자본 축적 궤도와 맥을 같이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원래 개(犬)는 학(鶴)처럼 귀티가 나는 동물이 아니라 먹을 것이 있다면 쓰레기통이나 똥구덩이에도 들어가는 동물이다. 그래서 옛날에는 어린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개를 키워 아이의 똥을 개가 먹어 치우도록 했다. 그러한 개처럼 돈을 벌어라고 했으니 어찌보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말고 돈을 벌어라는 늬앙스가 풍겨 우려되는 점도 없지 않다. 이 속담이 생겨날 당시에는 경제상황이 어떠했는지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아마도 경제상황은 못먹고 헐벗은 상태가 아니였을까 싶다. 그래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변칙이나 탈법 무리한 행동은 용납이 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요즘에 이같은 탈법 또는 변칙이나 무리한 행동은 처벌 받아야 하는 나쁜 사람으로 용납될 수 없다. 한국 사회만의 특수한 상황은 아니라 하더라도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비리나 부패, 특히 공직자나 정치인 또는 생태 파괴적 이기주의 등은 ‘개같이 벌어서’라는 천민자본주의적 발상이 내포된 탓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지금까지 사례를 보면 쥐꼬리만한 권력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이권(利權)이나 챙길려 하고 권력을 가진 자들은 자신의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하게 치부(致富)하려 든다. 지금 우리 사회에서 부자가 존경을 받지 못한 이유는 바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치부를 한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한때 우리 사회에는 커미션, 리베이트, 찬조금, 발전기금 등 명칭도 가지각색인 뇌물이 성행한 적이 있었다. 특히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에게 건네는 뇌물은 떡값이라고 하면서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십억까지 있었으니 권력이 없는 일반 국민들은 어떻게 생긴 떡인지 구경조차 할 수도 없다.

 

그런데 이러한 뇌물로 건네지는 돈은 한가지 공통된 점이 있다. 주고 싶어서 주는 돈이 아니라 마지못해 건네주는 돈이며, 단 두 사람이 은밀한 장소에서 주고 받기 때문에 들통이 나도 ‘나는 그런 일이 없다’고 부인하면 재판에서도 확인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그 돈이 올바르게 쓰일 리가 만무하다. 지금 재판중인 대장동 사건에서 보았듯이 난마(亂麻)처럼 얽힌 돈의 탐욕으로 인한 사회부조리는 실타래처럼 돈과 엮이지 않는 것이 없다. 이 모두가 결과만을 중시하는 사회풍토의 산물이고 ‘돈이면 안되는 것이 없다’는 천민적인 발상이 사회적으로 용인돼 온 탓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사회에 ‘돈이면 다 된다’는 가치관이 사라지지 않는 한 부패의 고리는 끊을 수 없고, 부패의 고리를 그대로 달고서는 선진국 진입은 기대하기 어렵다. 국민들이 배불리 잘 먹고 잘 지낸다고 선진국이 될 수는 없다. 우리가 살아가자면 돈은 꼭 필요하다. 그래서 돈을 벌려고 직장을 갖고 땀흘려 열심히 일을 한다.

 

이처럼 돈은 살아가기 위해 필하기는 하지만 쌓아놓고 숭배하는 대상은 아니다. 그렇다고 배척의 대상도 아니다. 돈은 유혹하는 마력이 매우 강하여 누구나 쉽게 빠져든다. 하지만 돈에 빠져 돈을 탐닉한다면 진정으로 돈의 유용성을 모르는 행위다. 돈이 왜 필요한가에 해답을 내리지 못하고 돈, 돈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돈의 탐욕을 적절히 다스리는 일이야 말로 비리와 부정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일이다. 돈의 탐욕 떼문에 법정에 서는 일이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대장동 사태를 보면 탐욕이 끝이 어디까지 인지 궁금하다. ‘무조건 돈을 벌자’라고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이런 생각이 범죄를 만들고 패가망신으로 이끌어간다. 인간은 돈을 지배해도 돈의 노예가 돼서는 안된다. 돈을 벌되 한줌 부끄러움 없이 깨끗하게 벌어야 한다. 그렇게 벌어서 부자가 되어야 존경을 받는다. 건강한 돈이 가치가 있고 이런 돈이 많이 축적될 때 사회가 건강해지고 나아가 국가가 건강해진다. 부자들이 존경받지 못하는 사회는 불행한 사회다. 누구의 잘못을 따지기 전에 그 부(富)의 원천이 투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부자들이 존경받는 사회라면 그 사회는 지금보다 훨씬 발전된 사회가 될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