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적개심 없는 국민, 나라 망친다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나는 태양계의 행성인 지구의 역사와 여기에 생존하는 인간의 역사가 좋은 이야깃거리를 제공해 주는 황금밭이란 사실을 항상 느끼고 있으며,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모든 이야기를 쓰는데 열중하고 있다. 지구는 무한대의 우주에 비하면 원자나 분자보다 작은 천체이지만 인간은 수 많은 슬픔과 고통스러운 역사를 끝없이 기록해 가며 서로가 자기 자신이 주인임을 강조한다. 한 사례를 보자. ‘테미스토클레스’는 아테네의 지도자였는데 페르시아 군의 침입이 예상될 때 그는 아테네 시민들을 설득하여 함대를 만들었다. 이때가 기원전 460년, 마침내 페르시아 군이 북쪽으로부터 공격해 들어와 아테네를 짓밟고 불바다로 만들었다. (북한이 서울을 불바다로 만들겠다는 말을 연상케 한다). 아테네 시민들은 섬으로 피난하였으며 아테네 함대들이 아테네와 살라미스 섬 사이에 있는 좁은 해협에서 페르시아 함대와 일전을 치르기 위해 기다렸다. 그 함대의 지휘자는 스파르타의 ‘에우리비아데스’였다. 그 당시 스파르타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 중에서 최고의 군사 강국이었다. 스파르타 군은 육상에서는 용감했으나 해상에서의 싸움은
칼럼 「적자생존」, 강자만 살아남는 원리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인간의 생존은 치열한 전쟁과 같다. 일찍이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는 모든 생물의 살아남기 위한 싸움을 「생존경쟁」 또는 「적자생존」이라고 표현했으며, 「양육강식」은 생태계의 기본 원리라고 할 수 있겠다. 모든 생물은 생존을 위해 내가 아닌 모든 것들과 부단히 싸우지 않으면 안된다. 개인이든 국가든 가혹한 경쟁에서 이겨내야만 생존할 수 있으니, 삶의 엄숙함과 심각함은 바로 그 점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인류의 모든 역사의 공통점은 분열과 통합의 연쇄반응적인 반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진화론을 주장한 ‘찰스 다윈’에 의하면 모든 생물은 끓임없이 분열하여 계속 불어나게 마련인데, 분열과 개체군이 만족스럽지 못한 환경속에서 장기적인 종족 보존을 위해서는 부득이 다른 종족과 싸워 이겨야만 한다고 했다. 「적자생존」과 「양육강식」의 논리는 여기에 근거를 둔 것이며, 그 이론은 개인이나 국가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한 사례를 보자. 어떤 사람이 사업능력이 탁월하여 여러 사업체를 거느리게 되었다. 그 기업가는 후손들을 보존하기 위하여 조만간 여러 사업체를 자식들에게 1∼2개씩
공자님께서는 “無可無不可也(무가무불가야)”를 역설하신 바 있다. 할 만한 것도 없고 불가한 것도 없다는 말이다. 이 세상일에는 반드시 이렇게 해야 된다거나, 또는 이렇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거나 하는 고정된 바가 없기 때문에, 물 흐르듯 상황 상황에 딱 들어맞는 무애 자재한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다. 맹자는 사서집주를 통해 “孔子可以仕則仕(공자가이임즉임) 可以止則止(가이지즉지) 可以久則久(가이구즉구) 可以速則速(가이속즉속)” 즉, 공자께서는 벼슬을 할 만하면 벼슬을 하고, 그만둘만하면 그만두고, 오래 할 만하면 오래 하고, 빨리 떠날 만하면 빨리 떠나심으로써, ‘무가무불가야’의 삶을 몸소 실천하셨다고 말했다. 벼슬할만하면 벼슬하고, 그만둘만하면 그만둘 수 있는 삶은 주체적이면서도 자유롭고 여유로운 행복한 삶이다. 이와 같은 삶을 가능케 하는 것은 사사로운 욕심을 벗어난 지공무사한 마음이다. 또한 목전의 상황을 정확하게 꿰뚫어 보는 지혜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가능한 삶이다. 누구나가 사리사욕을 벗어던지고 ‘머물 때와 떠날 때’를 아는 자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정계 및 재계에서 마지못해 타인에 의해 쫓겨나는 것이 아니
칼럼 아직도 깨어나지 못한 국민들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진(秦)나라 시황제 이름은 영정이며, 장사꾼 여불위의 아들인데 불륜으로 낳았다. 여불위는 전국 위나라 복양(濮陽)의 부유한 상인 집안에서 출생했으며 남다른 장사 수완으로 한나라 수도 양책(陽翟)에서 소금과 비단 등으로 대상인이 되었고 여러 나라를 왕래하며 장사를 하였다. 그는 식견이 높고 견문이 넓어 장사를 하면서도 늘 권력에 관심을 갖고 있어 관료들과도 친분을 쌓았다. 여불위는 조나라 수도 한단(邯鄲)에서 장사를 하고 있을 때 그곳에서 인질 잡혀있던 진나라 공자 영이인(嬴異人)을 만나게 되었다. 그 당시 국가들은 인질을 교환해서 평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힘이 강한 나라에서는 자국에서 중요하지 않은 왕자를, 힘이 약한 나라에서는 태자와 같은 중요한 인물을 보내는 것이 관례였다. 그래서 진나라에서는 영이인을 조나라의 인질로 보낸 것이다. 영이인은 소양왕의 둘째 아들인 안국군의 아들이었는데 태자가 아닌 안국군의 20여 명의 아들 중 한 사람인데다가 안국군에게 버림을 받은 하희 소생의 아들이라 왕위 계승에서도 배제되어 있었다. 영이인은 성품이 매우 어질고 곤궁한 생활을 하면서도 서신을
칼럼 지도자는 지혜를 터득할 줄 알아야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한 선비가 어느 날 아침 안방에 들어오자 부인이 밤새 정성들여 기운 버선을 내 놓았다. “아 부인, 참 잘 되었구려, 그렇지 않아도 며칠 전부터 새 버선이 있었으면 했는데 고맙소.“ 선비는 새 버선을 집어들고 기쁜 표정으로 신었던 헌 버선을 벗고 새 버선을 신을려고 했다. 그런데 여느 때와는 달리 버선이 작아서 아무리 잡아 당기며 애를 써도 발의 중간 쯤에 걸려 들어가지 않았다. 화가 난 선비는 부인 앞에 홱 던지면서 ”당신 재주는 참 이상한 데가 있어, 마땅히 작아야만 할 곳은 너무 크고 넓어서 헐렁헐렁 해서 영 재미가 없고 커야 할 버선은 이렇게 작게 기워 발이 들어가지 않으니 당신 것은 어째 매사가 이렇게 거꾸로만 되었단 말이오?“ 그러자 부인이 말했다. ”아니 당신 몸은 모두가 다 좋은 줄 아세요? 커야만 좋은 물건은 아무리 만져 키우려고 애를 써도 커지지 않고 크지 않아도 될 발만 쓸데 없이 커서 같은 치수라고 생각하고 기운 버선은 왜 들어가지 않아요? 정말 이상하지 않습니까?“ 두 사람은 부둥켜 안고 웃었다. 에도(江戶) 성안에서 죄를 범한 일곱 명의 무사들에게
우리 요양원에 시청각장애인 거주인이 있습니다. 다른 시설에서 2011년 12월 우리 요양원으로 옮겨 왔는데, 간단한 신상 기록 밖에는 언제 농아가 되었으며 시각장애인이 되었는지 전혀 기록이 없습니다. 그런데 오자마자 우리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기에 충분했습니다. 나름대로 붙임성이 있었습니다. 나이가 쉰이 넘었음에도 천진난만한 그의 행동은 어떤 때는 우리 모두를 울컥하게 만들 때가 참 많았습니다. 아쉬운 대로 수화라도 할 수 있다면 어느 정도 대화가 되긴 하겠는데 그것도 모르고, 그렇다고 일반 글자를 아는 것도 아니어서 대화 자체가 불가능했습니다. 어떻게든 대화를 해볼 요량으로 내가 무엇을 하는 사람인가는 알려 할 것 같아 우선 나온 배를 만져 주었습니다. 그 당시는 몸무게가 85kg나 되었기 때문에 배가 많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요즘도 배를 만져 주면 내가 눈가를 금방 압니다. 그리고 여기가 무엇을 하는 곳인가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방법이 없습니다. 그냥 식사 시간에 식당으로 안내하고 생활실의 화장실과 옷장 안내 정도밖에 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나무로 된 십자가를 준비했습니다. 이걸 받아 들더니 가톨릭에서 하는 성호를 긋더니 두 손을 모으고 기도하는 시늉
공자님은 말과 관련한 다양한 가르침을 남기셨다. 말은 머릿속의 생각을 타인들에게 전달하는 가장 대표적인 소통의 도구다. 모든 인간은 먼저 생각하고, 그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한다. 그리고 말과 글로써 자신의 생각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온 몸으로 행동하게 된다. 이렇게 인간의 삶은 좋은 일, 나쁜 일, 올바른 일, 그른 일 할 것 없이 신구의(身口意) 즉, 몸과 입과 의식을 통한 행동과 말과 생각으로 이뤄진다. 생각과 말과 행동 중에서도, 인간이 만물의 영장일 수 있는 뚜렷한 특징 중 하나는, 말을 자유롭게 구사함으로써 서로 서로가 원만하게 소통하며 대동단결할 수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반면, 서로가 서로를 오해하거나, 서로가 서로를 비난하면서 끊임없이 대립-반목하는 것도 말한 마디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때문에 우리 속담에 ‘아’다르고 ‘어’다르다며 그때그때 상황에 딱 들어맞는 올곧은 말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상황에 맞는 올곧음뿐만 아니라, 입 밖으로 내 뱉어진 말은 반드시 실천돼야 한다. 특히 국민을 이끌고 선도하는 유력 정치인의 경우에는, 자신의 입 밖으로 드러낸 말을 반드시 실행에 옮겨야 하며, 여의치
칼럼 법적 죄책과 신학적 죄책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우리 개인과 관련된 현실적인 죄책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유형은 「법적 죄책(legal guilt)」 혹은 「시민적 죄책(civil guilt)」이다. 만약 우리가 빨간 신호등이나 정지 표시를 무시하고 달리거나 조세 포탈이나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속도를 위반 할 때 민법 혹은 형법을 어긴 죄에 대한 책임이다. 우리는 이런 일을 하 면서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책임이 있다. 만약 그런 죄로 인해 체포되어 유죄 판결을 받는다면 벌금을 지불하거나 감옥생활을 하게 될 것이다. 고속도로에서 규정 속도를 위반하여 달리던 차들이 저 앞에 경찰차를 발견하고는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이것은 옳아서가 아니라 붙잡히거나 처벌을 받는 것이 두려워서 법을 지킨다는 사실이다. 무법성은 자연적인 사람들과 구원받지 못한 사람들이 보이는 성향이다. 두 번째의 유형은 인격에 대한 침해다. 하나님의 율법은 그 분의 본질에 대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사도 바울은 이렇게 말한다. “알 것은 이것이니 옳은 사람을 위하여 세운 것이 아니요, 오직 불법한
공맹지도(孔孟之道)인 유교(儒敎)의 궁극은 소인배의 삶을 청산하고, 군자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군자란 무엇이고 소인배란 무엇인가? 유학의 여러 가르침들 중에는 ‘君子(군자) 喩於義(유어의) 小人(소인) 喩於利(유어리)’ 즉, 군자는 의에 밝고, 소인은 이익에 밝다는 구절이 있다. ‘君子坦蕩蕩(군자탄탕탕) 小人長戚戚(소인장척척)’ 즉, 군자의 마음은 평온하고 넓으며 광대한 반면, 소인배는 항상 근심 걱정으로 가득 차 있다는 가르침도 있다. 대학,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의 하나로 꼽히는 중용에는 군자의 특징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온다. ‘君子素其位而行(군자소기위이행), 不願乎其外(불원호기외)’ 즉, 군자는 처한 곳에 따라 행할 뿐, 그 밖의 다른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가르침이다. 추운 겨울 스키장에서는 스키를 즐길 뿐, 더운 여름의 바닷가를 그리워하는 법이 없고, 여름의 해수욕장에서 한 겨울 스키장을 그리워하는 법 없이, 오직 지금 여기 처한 곳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하는 가장 실존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 군자라는 의미의 가르침이다. 이와 관련, 중용은 ‘素富貴(소부귀) 行乎富貴(행호부귀), 素貧賤(
칼럼 평민이 황제 자리에 오른 여자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수 양제(煬帝)는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크게 패하였으나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양저우의 별궁에서 사치스러운 행각을 벌리고 있었다. 지방관리들도 부패하기 짝이 없어 백성들만 곤궁에 빠져 있었다. 내부에서는 고구려 원정의 실패와 엄청난 대토목공사로 인하여 국력이 피폐해져 각지에서 반란군이 일어났으며, 지방 호족들도 독립적인 정부를 세었다. 617년 태원 유수 이연 역시 반란에 가담하였다. 이연이 수나라의 수도인 장안을 했을 때 마침 수양제가 강도에서 우문화급(宇文化及)과 우문지금(宇文智及) 형제에게 암살되자 이연은 국호를 당(唐)으로 하고 스스로 제위에 올랐으며, 건국에 공이 큰 이세민을 진왕(秦王)에 봉했다. 이세민이 반란을 일으켜 수나라 정부군과 싸울 때 목재상으로 많은 돈을 번 무사확(武士彠)은 이세민에게 군자금을 지원해 주었다. 이세민이 왕이 되자 무사확은 유수에 임명되었다. 이때 무사학은 아들이 없어 두 번째 여인과 결혼 했지만 딸만 셋을 낳았다. 셋째 딸 조(粗)은 어릴 때부터 영특하고 얼굴도 예뻤다. 무조(武粗)가 13살 때 이적 장군의 추천으로 궁녀로 입궐하게 되었다.
칼럼 적(敵)을 경영하는 지혜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다도칸(太田道灌)은 에도 성(江戶城)을 축성한 인물이다. 그는 늘 전쟁에 신경을 쓰야했다. 도칸은 언젠가 대적하고 있는 도시마(豊島) 가문의 작은 성인 고즈쿠에(小机)성을 공격하게 되었다. 고즈쿠 성은 규모가 작기 때문에 적은 수의 병력으로도 충분히 함락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 도칸은 수백 명의 병력만을 이끌고 출전했다. 하지만 이 사실을 눈치챈 도시마가 서둘러 고즈쿠에 성으로 지원군을 보냈기 때문에 성안의 병력 수는 도칸의 다섯 배 정도가 되어 버렸다. 이 정보가 들어오자 중신들의 얼굴이 어두어졌다. “우리는 소수이고 저쪽은 대군입니다. 승리한다는 보장이 없으니 일단 물러났다가 병력을 증강시켜 다시 공격해야 할 것입니다” 중신들은 그렇게 제안했지만 도칸은 그대로 공격을 명령했다. “지금 물러나면 우리 병사들의 사기가 약화된다. 병력을 증강하여 다시 공격한다 해도 일단 마음속에 자리잡은 공포심은 떨쳐버리기 어렵다. 이대로 공격하기로 한다. 내가 병사들의 사기를 높일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즐 것이니 병사들에게 부르게 하라.” 도칸의 말을 들은 중신들은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며 “노래
칼럼 변화를 두려워 하지 마라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가장 좋은 아이디어를 찾아내어 실행에 옮겨라.” 이것은 잭 웰치가 가장 신봉하고 있는 경영비법이다. “끓임없이 배워라 건방지게 당신이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당신만이 진실을 독점하고 있다고 생각하지 마라” 잭 웰치의 이러한 생각은 남다른 데가 있다. 잭 웰치는 GE 그룹의 회장이다. 그는 쇠약해 가는 GE를 회생시켰고 미국에서 가장 역동적인 회사로 탈바꿈 시켜 놓았다. 「비지니스 위크」의 시장 가치 기준을 100기업에서 1위에 끌어 올려 놓았다. 1993년 이후 미국에서 시장 가치 기준 1위였던 GE의 기업 가치는 1997년 12월 31일 당시 2400억 달러이다. 더구나 CE는 미국에서 가장 수익을 많이 내는 기업들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위대한 비즈니스 리더는 강성한 에너지의 소유자여야 한다고 잭 웰치는 강조한다. 많은 사람들은 잭 웰치의 경영기법이 무척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이렇게 말한다. “✦사업은 단순하다. ✦일을 너무 복잡하게 만들지 마라. ✦변화를 두려워 하지마라. ✦관료주의를 타파하라. ✦직원의 두뇌를 활용하라. ✦가장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