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상 명리학자의 얼굴의 운명 <256> 뾰죽한 턱 얼굴이 볼 있는 부분까지는 평퍼짐한 편인데 턱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져서 턱끝이 뾰죽한 모양새이다. 독자적인 경영은 어렵고 말년운이 나빠지며 안정된 가정을 갖지 못한다. 여성은 남편운이 좋지 않다.
칼럼 변화를 부르며 새 인생을 만들라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사람은 누구나 자기 나름대로 태도를 갖고 있다. 태도(attitude)란 「우리가 사고(思考)를 처리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정신적 여과정치」라고 정의할 수도 있다. 일반인의 경우 매일 4만∼5만여 가지의 다양한 생각을 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해서 판단했을 때 태도가 매우 중요하다는 말은 틀린 표현은 아닐 것이다. 부정적인 사람들에게 세상은 암울함과 파멸만이 존재하는 동굴속 같은 장소임에 틀림없다. 똑 같은 생각을 긍정적인 여과 장치로 걸러내는 사람에게 세상은 기회가 흘러 넘치는 밝고 모험이 가득한 장소일 것이다. 그렇다면 나쁜 태도와 좋은 태도는 어떤 것일까. 나쁜 태도는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남을 탓하는 것이다. 좋은 태도는 실수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다. 나쁜 태도는 변명을 하거나 남에게 전가하는 것이다. 좋은 태도는 결과를 창출한다. 나쁜 태도는 「가서 해」라고 말하는 것이다. 좋은 태도는 「가서 하자」라고 말하는 것이다. 나쁜 태도는 인생을 참아야 하는 시련으로 받아 들인다. 좋은 태도는 인생을 즐겨야 하는 모험으로 받아 들이는 것이다. 나쁜 태도는 장미 넝쿨이 있을 때 가
권우상(權禹相) 장편 역사소설 제3부 제73회 다라국의 후예들 그런 다음에 부성지는 취중인 척하고 이집 저집의 문벌이 어떻다는 것을 저울질하다가는 은근히 고팔배의 가난함을 들추어 내어 모닥불을 지폈다. “그러니 말일세, 본래 집안이 대대로 가난했으니 딸의 혼사에도 잘 사는 집으로 보낼 수 있겠나, 자네에게 좋은 수가 있네, 자네 과년한 딸이 있지 아니한가, 그 딸 가지고 그림 잘 그리는 사위 하나 얻어 보려나 어때?” “아, 이 사람이 미쳤나, 졸지에 그림 잘 그리는 사위는 무엇이야? 그리고 그림 잘 그리는 놈이 무엇 때문에 가난한 내 집 딸을 데려 가려구 한다든가?” “그럼 달라고 하는 사람이 있으면 주기는 할텐가? 어서 대답해 보게.” “그것은 그때 보아야지.” “그럼 이 좌석에서 당사자가 있으니 승낙을 하게, 바로 저 서운세 말일세, 나이는 이제 마흔 셋, 풍체 좋고 그림 잘 그리는 화가 어때, 자네 집 선대에서 이런 화가가 있었든가? 이 혼인만 하면 꽃이 활짝 피었네, 꽃이 활짝 피었어, 두 말 말고 그렇게 하게나.” 이 때에 좌중에 않았던 여러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모두가 깜짝 놀랐다. 심지어 부성지를 광인(狂人)으로까지 생각했다. 그러나 오직 고
칼럼 역사 왜곡 백제 지명 너무 많다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옛 백제 지명에 왜곡된 이름이 너무 많다. 이는 삼한통일 이후 임의대로 개명했기 때문이다. 사록에 따르면 연산은 백제때 황등야산군(黃等也山郡)인데 신라때 황산(黃山)으로 고쳤고, 고려초기에 연산현으로 고쳤다. 이성(尼城)은 백제때 열야산군(熱也山郡)인데, 신라때 이산(尼山)으로 고쳤다. 태종때 석성(石城)과 합쳐서 이산성이라 일컫다가 다시 나누었다. 노산(魯山)은 노성(魯城)이라고도 한다. 부여는 백제때 소부리군(所夫里郡)인데, 사비(泗沘)라고도 한다. 성왕이 이곳에 와서 도읍하고 이름을 남부여라 하는데, 신라때 부여군으로 고쳤다. 반월(半月)은 여주(餘州)라고도 한다. 석성(石城)은 백제 때의 진악산현(珍惡山縣)인데, 신라때 석산(石山)으로 고쳤고, 고려 초기에 석성으로 고쳤다. 태종(1414)때 이산(尼山)과 합쳐서 이성(尼城)을 만들었더니, 후에 고다진(古多津)이 왕래하는 요충지라 해서 다시 나누어서 현을 만들었다. 비인(庇仁)에 성이 있다. 백제때의 비중현(比衆縣)이니, 신라때 비인으로 고쳤다. 남포(藍浦에) 성이 있다. 백제때의 사포현(寺浦縣)이니, 신라때 남포로 고쳤고 공양왕이 진(
칼럼 봄의 소중함은 겨울이 있기에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사람은 누구나 하루를 살면서 그 하루를 얼마나 참되게 살았는지 생각해 보는 사람은 드물다. 하루 해가 넘어가면 하루를 살았다고 하는 것은 막연한 시간의 흐름에 자기를 던져버린 것이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시간 속에 아름다운 언행(言行)을 다듬어 내는 것이 문제다. 조그만 선행을 베풀고서 최선의 일을 치루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병은 만족하는 병, 잘난 체 하는 병이다. <체병>이 큰 병이다. 우리가 이 세상을 살려면 언제나 자기 겸손이 앞서야 한다. 아무리 악한 도적이나 폭력배라도 겸손한 사람에게는 함부로 주먹을 내밀 수가 없다. 우리는 항상 착한 마음으로 모든 대상에게 겸손한 손짓과 마음의 훈김을 보내야 한다. 도덕으로 쌓은 공덕이 있어야 그 삶의 질이 밝게 트인다. 탐욕에 사로잡혀 악습에 젖은 악행만을 일삼는다면 그 길은 칠흑같이 어두운 동굴에 이르게 된다. 우리 사회에는 지식과 판단이 흐린 사람이 마구 독선과 고집으로 온갖 일을 함부로 시도하는 사람이 있다. 그렇게 될 수 없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자기만이 그 일을 할 수 있다고 억지를 부리
4월 13일 (음력 3월 2일) 오늘의 운세 권우상명리학연구소 TEL (051) 365 - 0826 子 84년생 - 충분히 생각한 후에 결정하라. 72년생 - 주머니 사정이 두두룩하니 기분이 좋다. 60년생 - 오전보다 오후에 일이 잘 풀려 나간다. 48년생 - 주변 사람이 주겠으 나 너무 믿지 마라. 36년생 - 자녀에게 뜻밖에 기쁜 소식이 있겠다. -------------------------------------------------------------------- 丑 85년생 - 하는 일의 실마디가 풀려 나간다. 73년생 - 지출에 신경써야 낭비가 없다. 61년생 - 때로는 적극적으로 일을 추진하라. 49년생 - 남의 일이 뛰어들면 손해본다. 37년생 - 순간적인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후회가 없다 -------------------------------------------------------------------- 寅 86년생 - 생각없이 맹진하는 것은 위험하다. 74년생 - 방심하면 뜻밖에 손실이 따른 다. 62년생 - 힘들어도 스스로 일을 밀고 나가라. 50년생 - 몸과 마음이 바빠야 일에 보람을 갖는다. 38년생 - 남과의 다툼이나 시비를
칼럼 쓸모 있는 것과 없는 것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장자(莊子)가 산속을 거닐다가 나무들이 많이 베어진 곳을 발견하자 의아스럽게 생각했다. 대부분의 나무들은 베어 나갔지만 한 그루만 그대로 남아 있었다. 장자가 그 연유를 묻자 벌목공들은 그 큰 나무는 규칙적으로 자라지 않아서 베어 보았자 사용할 가치가 없다고 말했다. 장자는 산에서 내려와 친구 집에 들렸다. 친구는 장자를 반갑게 맞아 주면서 대접을 하기 위해 마당에서 놀고 있는 거위를 잡으라고 하인에게 일렀다. 그러자 하인은 물었다. “가위가 세 마리 있는데 어떤 거위를 죽일까요?” 장자는 하인에게 물었다. “세 마리 다 우느냐?” “아닙니다. 두 마리는 우는데 한 마리는 울지 않습니다” “그럼 울지 않는 거위를 죽이거라” 여기에서 우리는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죽어야 하는 생물이란 어떤 것인가를 한번 생각해 보자. 많은 나무들 중에서 쓸모가 있는 나무는 모두가 베어졌고, 큰 나무는 쓸모가 없기 때문에 살아 남았다. 즉 쓸모가 있어 죽었다. 그러나 거위는 나무와는 반대로 쓸모가 없기 때문에 죽임을 당했다. 이 이야기에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쓸모가 있는 것」과 「쓸모가 없는 것」의 기준은 상황
권우상 명리학자의 얼굴의 운명 <255> 둥근 턱 턱에 살이 풍만하게 붙어 있으며 넓고 둥글게 생긴 모양새이다. 도량이 넓고 포용력이 있으며 온화한 성품이다. 위사람과의 사이가 원만하고 아랫사람에게는 신뢰를 받는다. 자식들의 효성속에서 안락한 만년을 보낸다.
권우상(權禹相) 장편 역사소설 제3부 제72회 다라국의 후예들 그러나 촌인(村人)들이 대개는 농부들이어서 서로 담화 한 마디 주고 받을 만한 사람이 없어서 답답하게 지내던 중 십여 리(里)나 떨어져 있는 곳에서 그림을 아주 잘 그리는 박운세라는 사람이 산다는 말을 듣고 서로 허교(許交)를 하게 되면서 서로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 서운세는 전문적인 화가는 아니지만 제법 그림을 잘 그렸다. 부성지가 서운세를 친구로 사귄지도 어느새 벌써 5년이 지났지만 친구들을 모조리 뜯어 보아야 서운세만큼 정다운 친구가 없었다. 서운세는 예사 친구로서의 체면상 앞가림으로 무슨 일에 아는 체 하는 그런 사람도 아니고, 아첨을 하는 그런 성품도 아니고 다만 참되고 두터운 우정으로 연결된 든든한 사이였다. 친구라 하면 비록 오륜(五倫)의 하나요, 사람으로서는 있어야 할 사회적 존재라고 하겠지만 친구라 해도 별의별 사람이 다 있고, 사귀는 정분만 해도 천차만별일 것이다. 그러나 부성지의 서운세에 대한 우정이야말로 마치 형제와도 같아서 그 지성으로 어려울 때 도와주는 것이라든지 거리낌없이 지내는 정분은 비록 관중과 포숙(管中, 鮑叔)이 살아 온다 해도 이보다 더할 수는 없을 것이었다.
칼럼 늙음의 미학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우리나라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 문제가 하나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빈부의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노인에게도 양극화가 되고 있는 모습이지만 연령의 관점에서 보면 동일하다. 사람은 누구나 세월의 나이테를 그으면서 늙어가게 된다. 늙는다는 것은 추해지는 것이 아니라 성숙하고 아름다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산에 올라가서 소나무를 한 번 보라. 키가 작고 땅달막한 소나무와 수 백년 동안 풍상을 겪고 살아온 아람드리 소나무를 비교해 보면 어느 소나무가 아름다워 보일까? 아마 수백 년을 살아 온 소나무가 아름답게 보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소나무도 병충해에 말라 죽어 볼품이 없다면 누구도 아름답다고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도 세월의 늙음에는 어찌할 수 없다고 하지만 스스로 마음의 주름살이 쌓이지 않도록 푸르고 울창한 나무로 존재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나이는 한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곳에 있다. 웨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 나오는 노인은 어린 소년과 야구 이야기를 하면서 친구가 되었다. 미국의 대학원에서는 세계적으로 명성이 나 있는 교수의 대부분은 머리가 희끗희끗
칼럼 역사드라마 왜곡, 무엇이 문제인가?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sbs 역사 드라마 「조선구마사」가 출항하자 마자 암초에 부딪치면서 방영이 폐지된 모양이다. 문제가 된 핵심은 이렇다. (1) 중국 역사 드라마에서 그대로 가져온 듯한 등장 인물의 검(劍)과 의상 및 머리 스타일이다. (2) 퓨전 드라마라고는 하지만 역사적 사실에 맞지 않는 모순을 드러내고 있다. 중국 음식들 즉 중국 월병, 오리알이나 달걀을 삭힌 피단(송화단) 그리고 중국 술이 나온다. (3)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에게 조선 왕실에서 중국의 술과 음식을 대접한다는 것은 드라마라고 해도 너무 엉터리다. 이런 것만 봐도 마치 중국에서 제작한 드라마가 아닌가 싶다. 오늘날 한국 드라마는 비전과 철학이 없고, 희희낙락하는 흥미물로 전락한지 이미 오래다. 드라마이든 소설이든 그것이 비록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창작된 픽션이라고 하지만 대중들에게 적지 않는 영향(파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신중해야 한다. 한국 드라마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오락성이 매우 강하다. 그래서 나는 드라마는 전연 보지 않는다. 한국 드라마는 곳곳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헤이나래'가 개그우먼 박나래의 수위 높은
권우상 명리학자의 얼굴의 운명 <254> 메기 입 입아귀가 길쭉하게 째져 널찍하면서도 아래로 숙여져 있고 입이 전체적으로 크고 내밀어 있다. 입술이 가운데가 넓으면서 둥그스름하게 생겨서 마치 메기의 입매와 같은 모양새이다. 바르지 못한 마음가짐이고 생각이 짧으며 있는 것도 없애고 끝내는 자포자기 하여 가난하고 미천한 상이다. 지키던 자리도 중년을 넘기지 못하고 자식과의 인연이 없어서 결국 살아도 사는 것 같지 않은 비천한 인생을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