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이 대표가 되는 시의회, 기관단체, 시민단체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해 평화적 사태 해결에 즉각 나설 것을 촉구한다.” 대형 인명피해 우려 공권력투입 유보, 공장점거 장기화… 재고량 바닥나는 1주일 이후엔 삼성전자 등 KEC부품 수급업체들도 조업차질 예상… 완충지대 만들어 협상 유도해야 KEC 노사분규가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다. 노조는 파업 127일째인 지난달 21일부턴 평화적 정문 천막농성을 접고 1공장 점거농성이라는 마지막 선택을 했다. 1공장엔 위험한 인화물질이 많아 생명을 담보로 한 ‘옥쇄파업’이나 다름이 없다. 이는 노조 스스로 핵심 요구사항인 타임오프제를 철회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가 일절 교섭에 응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2 용산참사’ 우려되는 구미 KEC 사태>란 제목으로 한 중앙일간지 사설에까지 거론될 정도로 구미시가 ‘지역갈등 도시’로 비쳐지고 있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되도록 시장과 국회의원, 시의원 등 지역사회 지도층은 초반에 얼굴만 잠깐 내비치고 대책회의 한번 소집하지 않는 등, 내륙 최대 공단도시라는 40만 구미시의 지도층이 지금 보여주고 있는 ‘지역갈등 조정능력’으로 봐선 이들에게 ‘지속가능한 구미공단’을 맡길 수 있을지 회의감을 갖게 하고 있다. 구미시가 추진했던 역대 최대 지역갈등 현안이었고 무려 ‘10년 장기 지역현안’이었던 환경자원화시설(생활쓰레기 소각·매립장) 입지선정을 시민단체가 해결해줬건만, 노사갈등을 걱정하는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KEC 대책회의 소집 건의에 대해선 반응이 없다. 남유진 시장을 비롯한 지역사회 지도층은 인화물질이 가득한 공장점거 농성 이후의 상황에 대해선 비상한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야한다. 먼저 농성자들의 안위를 걱정해야 하고, 대형 불상사가 생길 경우 전국적으로 ‘기업하기 나쁜 도시’로 지역이미지가 실추될 것이라는 점도 걱정해야한다. 지하철 참사 등 잇따른 참사가 대구시의 전국적인 이미지 훼손에 크게 작용한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숙고해야한다. 남유진 시장이 적극 나서서 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반인권적인 음식물반입 금지를 우선적으로 철회시키고 공권력투입 계획을 유보시키면서 완충지대를 만들어나간다면, 노조가 이미 타임오프제와 인사문제 등 요구안을 대폭 양보했기 때문에 평화적 사태 해결의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다. 첨예한 지역 갈등을 해결하려는 모습을 통해 지약사회 지도층으로서의 신뢰의 리더십을 보여주기 바란다. 2010년 10월 29일 구미지역시민사회단체문의: 011-9389-3341/구미YMCA 이동식사무총장 (구미경실련/구미YMCA/구미참여연대/참교육학부모회구미지회/구미시농민회/구미풀뿌리 희망연대/구미도시교통포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