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는 이날 성명에서, “지난 3월 27일 일본의 고등학교 교과서 왜곡점검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바 있지만, 그 이후로도 외교청서 발표와 정부와 정치권이 대거 참석한 가운데 독도침탈을 위한 4.11 도쿄집회 개최까지 독도를 직접 관할하는 경상북도지사로서 참으로 어처구니가 없다”고 밝히고,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영토인 독도를 침탈하고자,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끈질기고 집요하게 만행을 자행하는 것은 아직도 과거 제국주의적 식민야욕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명백한 증거”로 “일본의 군국주의적 침략미화와 우리의 영토주권을 훼손하는 역사왜곡에 대해 무릎 꿇고 사죄하고, 동북아의 안정을 해치는 영토정책과 명백한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에 대한 일체의 침탈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4.11 도쿄집회는‘다케시마(竹島, 독도의 일본식 명칭)·북방영토 반환 요구 운동 시마네 현민회의’와 ‘일본의 영토를 지키기 위해 행동하는 의원연맹’이 공동으로 주최하여 열린 것으로 독도 관련 행사가 도쿄에서 열린 것과, 정부 관료와 총리 측근이 참석한 것은 처음으로, 독도문제에 대해 정부차원에서의 역할 확대 요청을 골자로 하여 △독도예산의 증액요구, △정부 내 관할부처 설치, △국경이도에 대한 특별지원, △국민적 관심과 지지를 호소하며 ‘다케시마문제 조기 해결을 위한 결의안’을 발표하였다. 한편, 최근 들어 일본은 장기적인 경제 불황으로 탈출구를 찾기 위한 현(노다) 정권은 ‘소비세 인상’문제 해결을 위해 전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으로 외교현안에 대한 주도권이 약화되고 있으며, 일본 전체의 우경화와 맞물려 정국의 주도권을 장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정치적 타개책으로 보수 성향의 국회위원들을 중심으로 독도를 비롯하여 러시아와의 남쿠릴열도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하며 보수우익세력을 중심으로 결속을 다지고, 자신들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데 적극 활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