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은 신장에서 혈액을 거른 뒤 나오는 노폐물로서 여러 대사산물이 포함되어 있어 요로계의 이상 뿐 만 아니라 전신적인 내분비/대사 질환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으며, 건강검진을 받으러 가면 가장 먼저 하는 검사 중 하나이다. 우리 몸에 있어 가장 중요하면서도 비교적 검사방법이 쉬운 소변, 한국건강관리협회 경상북도지부 한용태원장과 함께 소변 속 숨겨진 수치로 건강상태를 점검해보자. 1. pH(뇨의 적정산도) 4.6~8 pH검사는 일반적으로 소변 검사 중 산성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검사 방법이며 정상적인 소변의 pH농도는 4.6~8이다. pH가 4.6이하로 측정되는 경우는 고단백식이, 대사성 및 호흡성 산증, 기아상태 등을 의심할 수 있다. 반대로 대사성 및 호흡성 알칼리증, 채식, 암모니아 생성세균에 의해서 pH가 8이상으로 증가 할 수 있지만 병적으로 pH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정상적인 경우 산소가 부족하거나 운동을 갑자기 많이 해서 산소 요구량이 많아진 경우 pH가 정상범위에서 낮아질 수 있고 굶은 상태나 당분을 에너지로 적절히 이용하지 못할 때도 pH가 낮아 질 수 있다. 2.요의 비중 1.016~1.022 요의 비중은 소변에 용해된 물질은 측정한 것이다. 이때 증류수의 비중은 1.000으로 아무것도 녹아 있는 것이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숙자가 클수록 더 많은 물질이 녹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요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우는 탈수, 당뇨병 등을 의심할 수 있고, 요의 비중이 감소하는 경우는 신세뇨관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병적인 상황을 제외하면 요의 비중이 변하는 가장 흔한 원인은 탈수이다. 3. 하루 150mg 미만의 단백질 소변으로 배출 정상적으로는 하루에 150mg 미만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된다. 하지만 그 이상일 경우에는 ‘요단백양성’이라는 말을 쓴다. 소변 내의 단백질이 증가하는 경우 신장 이상을 생각할 수 있다. 만성 신장염나 신증후군, 당뇨병성 신증에서는 환자의 병의 상태가 중할수록 소변 속의 단백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신장이나 요로에 이상이 없어도, 격렬한 운동을 하고 난 후, 심한 추위에 노출 된 후에 일시적으로 소변에 단백질이 나올 수 있다. 검사 결과 요단백 양성이 나왔다면 기상 직후의 소변으로 재검사 할 필요가 있다. 4. 적혈구는 없는 것이 정상 소변에는 적혈구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정상이다. 그러나 소변이 붉어지는 경우 신장 및 요로계의 질환, 출혈성 성향 등으로 적혈구가 소변으로 나오는 혈뇨인 경우도 있지만, 혈관 내 용혈로 인하여 혈색소가 소변으로 배출되는 혈색소뇨, 근육의 질환이나 외상으로 인하여 유리된 미오글로빈이 요로 배출되는 미오글로빈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소변의 현미경적 감별이 있어야 한다. 또한, 혈뇨의 경우도 외상성 요로계손상, 신장 및 요로 결석, 방광염, 신장암 등으로 인한 원인부터 정상인에게서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양성 원인까지 다양하므로, 소변검사에서 적혈구가 양성으로 측정된 경우는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소변 색깔로 내 건강 알아보기 1. 소변의 색이 갈색이라면 : 소변 색깔이 진하고 갈색에 가깝다면 열이 났거나, 설사를 했거나, 구토나 땀을 흘렸을 경우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럴 때 수분 섭취를 늘리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다. 2. 소변의 색이 간장처럼 심하게 짙다면 : 감염으로 인한 황달일 가능성이 있다. 3. 비누를 풀어놓은 것처럼 거품이 생겼다면 : 거품이 많은 소변이 지속된다면 단백질 성분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고 있다는 신호다. 하지만 건강한 사람도 심한 운동 후에나 고열이 지속될 때, 혹은 탈수가 심하거나 지나치게 육류 위주의 식사를 했을 때 일시적으로 소변에 거품이 생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