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번 초청사업은 일제 강탈수난기를 겪으며 먼 이국땅에 옮겨져 살다 광복이후 끝내 귀국하지 못한 채 온갖 고난과 역경속에서 우리 글과 문화를 보존하며 질곡의 삶을 살아온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 동포세대들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것이다. 우즈베키스탄에는 1937년 스탈린의 소수민족 분산정책에 따라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어 정착한 동포들이 약 17만 5천명이 거주 하고 있으며, 러시아 사할린지역에는 약 43,000여명의 동포가 현재까지 외로움과 어려움속에서도 문화적으로 정체성을 가지고 공동체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경상북도에서는 이들을 위로하고 다음세대들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 우즈베키스탄 및 사할린 동포자녀 27명을 현지의 고려인문화협회, 세종한글학교, 한국교육원의 추천을 받아 초청케 되었으며 8월 8일에 입국하여 8월 10일(수)에는 경북도를 방문하여 할아버지 고향의 현재 모습을 이해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교육기간 동안 안동국학진흥원에서 한국어 및 민족정체성에 대한 강좌와 함께 세계문화유산인 안동하회마을 등 경북의 3대문화권 탐방 그리고 경주세계문화엑스포와 포스코 견학을 통해 경북의 혼과 세계속의 대한민국의 위상을 체험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경상북도는 “경북웅혼 양휘만방(慶北熊魂 揚輝萬邦)”이란 의미에 걸맞게 해외 동포들의 생활상 소개와 모국초청 등 "민족정체성 찾아주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지난 5월에는 우즈백 동포 122분 어르신들을 모신 경주에서의 만찬과 국악공연, 7월에는 지난해에 이어 러시아 사할린 유즈노사할린스크시와 중국 흑룡강성 홍신촌에서 각 200여명의 동포 들을 위한 경제문화교류사업을 펼쳐 현지동포들의 애환과 설움을 함께 한 바 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머나먼 이국의 척박한 땅에서 망향의 아픔속에서 우리 말과 혼을 간직한 채 살아가고 있는 해외동포 자녀 3-4세대들에게 ‘우리는 한민족’이라는 공동체의식을 심어주어, 향후 1,000만 재외동포시대에 모국과 국제사회의 구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해외 기관과 도민회, 해외자문위원 등과의 지속적인 연계를 통해 "해외경북인 자녀 초청 한국전통문화 체험연수"프로그램이 해외동포 자녀간의 친선 도모와 한국인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시켜 주는 기회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