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보고회에서 △ 도기욱(예천) 부위원장은 인구 10만의 신도시를 건설하고 도청을 계획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난관을 헤쳐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올해 초 도청 및 의회 신청사 설계·시공업체가 이미 선정되었고 계획대로라면 이번 달 경에 착공을 하여야 하나 토지 감정 등의 절차와 행정타운 부지인 갈전리 지역주민들이 요구하는 보상 관련 사항에 대한 협의가 마무리 되지 않아 착공시기가 다소 늦어질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본 특별위원회는 도청이전 사업이 계획대로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특위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고 지적하면서 경북개발공사가 제시하는 보상가와 서로 상충되고 있고, 현 보상단가로는 타 지역으로의 이주 정착이 매우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것을 주문하였으며 △ 김명호(안동)위원은 얼마전 도청이전 사업성 결여로 2021년 이후에는 이자만 3천9백억원을 넘을 것이라는 감사원 지적을 언급하면서 사업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특화된 도시를 개발하여 은퇴 이후 자발적으로 찾아올 수 있는 매력적인 도시로 개발할 것을 주문하였다. △ 김세호(비례대표)위원은 녹지비율이 높고 낮음이 문제가 아니라 도시구성에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근본부터 따져 가능한 한 실용적이고 분양성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을 주문하였다. △ 홍광중(교육의원)위원은 신도시 조성으로 인해 자칫 안동·예천의 구도심이 공동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각별한 도시기능을 분배·추진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무엇보다도 원주민의 이주 대책부터 세워 타 지역에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