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9 (화)

  • 맑음동두천 18.5℃
  • 맑음강릉 17.5℃
  • 맑음서울 19.0℃
  • 맑음대전 20.2℃
  • 맑음대구 23.5℃
  • 맑음울산 15.7℃
  • 맑음광주 21.6℃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17.2℃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20.2℃
  • 맑음금산 19.5℃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8.4℃
  • 구름조금거제 14.5℃
기상청 제공

권우상 칼럼-인간의 10가지 숙명의 패턴

권우상(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인간이 지닌 숙명의 패턴에는 크게 나누어 다음과 같다.

(1) 救得水魚型(구득수어형) = 태어난 해(年)와 날(日)이 같은 사람이다. 사치를 좋아하고 예능의 집안에서 태어나 심성이 착하고 종교심이 두텁다. 물을 얻는 물고기라는 뜻이다.

(2) 兩雄竝立型(양웅병립형) = 태어난 해(年)와 날(日)이 같은 오행인데 음양이 다른 경우이다. 부부갈등이 많다. 양(陽)의 날에 태어난 사람은 고생이 찾아와도 잘 이겨낸다. 경쟁심이 많아 스포츠맨이 좋고 직업을 자주 바꾸는 일신상의 변화가 잦자.

(3) 被利用型(피이용형) = 태어난 해(年)와 날(日)이 상생이 되는 사람이다. 자기 표현이 풍부하여 사업가나 정치가 또는 예술가에 적합하다. 신의를 잘 지킨다.

(4) 一念奉仕型(일념봉사형) = 태어난 해(年)와 날(日)의 양이 다른 상생의 관계이다. 글자 그대로 한가지 일에 봉사하는 사람인데 취미와 오락도 포함된다. 이해타산을 초월하여 몸을 내던지며 봉사하는 사람이다. 사회사업, 자선사업, 종교 활동에 종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5) 唯我獨尊型(유아독존형) = 태어난 해(年)와 날(日)이 상극의 관계로서 같은 음, 같은 양끼리인 경우가 이에 속한다.

(6) 캅셀형 = 캅셀처럼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형이다. 자기 분수를 깨닫지 못하고 큰 일만 바라보다가 실패하기도 한다.

(7) 被害者型(피해자형) = 태어난 해(年)와 날(日)이 상극으로 양끼리 또는 음끼리 충돌한다.

(8) 吾不關焉型(오불관언형) = 독립독보의 길을 걷는다. 시류를 초월하고 상식 밖의 일을 생각하는 형이다.

(9) 빨판상어형 = 이권에 약삭 빠르고 이권을 노리며 자기에게 손해가 없도록 기민하게 움직인다. 배에 붙어다니는 상어에 비유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0) 報應待期型(보은득기형) = 자신의 특성이나 천부의 재능을 최대한 발휘한다.

출생한 계절로 길흉을 본다.

(1) 봄(寅卯辰)에 출생한 목(木)인 사람, 즉 생일 천간(天干)이 갑을(甲乙)인 사람 = (#) 봄은 아직 추위가 남아 있으므로 목(木)을 따뜻하게 해 주는 화(火)운이 대길이다. (#) 나무가 뻗어가기 위해서는 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물이 조금 있으면 좋다. (#) 이른봄(早春)인 인월(寅月)인 사람은 수(水)가 많으면 뿌리가 썩어 좋지 않다. (#) 늦은 가을(晩春)인 진월(辰月)인 사람은 뿌리가 마르지 않도록 수화(水火)가 많으면 대길하다. (#) 토(土)가 많으면 싹이 트고 자라기 어렵다. 토(土)가 얇으면 재물이 풍부하다. (#) 금(金)이 많은데 또 금운을 만나면 목(木)이 극을 받아 불길하다. 목(木)이 많으면 금(金)운을 만나야 좋다.

(2) 여름(巳午未)에 출생한 (목)木 = (#) 뿌리가 마르기 쉬워 水가 대길하고 火는 대흉하다. (#) 土는 얇아야 좋고 중후하면 불길하다. (#) 金이 많으면 나쁘고 전연 없어도 나쁘다. 명산의 거목이라도 金으로 절단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 水가 대길이고 金과 土는 보통 좋고 火는 대흉이다.

(3) 가을(申酉戌)에 출생한 목(木) = 火가 강하므로 水와 土가 많으면 대길하다. (#) 酉月(유월)생은 이미 나무가 성장했으므로 강금(强金)의 修削(수삭)이 좋다. (#) 霜降(상강)인 9월 하순 이후에 출생한 사람은 水가 많으면 木이 썩기 쉬워 불길하다. (#) 한로 9월의 중순 이후에 출생한 사람은 火가 많으면 불길하다. (#) 어느 것이든 土가 많으면 재운이 희박하여 불길하다.

(4) 겨울(亥子丑)에 출생한 목(木) = 木의 정기가 그 뿌리로 모이는 계절이라 토(土)가 많으면 뿌리를 북돋아 주기 때문에 대길하다. (#) 수(水)가 많으면 뿌리가 썩어 불길하다. (#) 금(金)이 많으면 폐해는 없지만 겨울의 金은 휴수(休囚)로서 힘이 약하다. (#) 火가 많으면 뿌리를 따뜻하게 해주고 목(木)의 정기(精氣)를 충실하게 해주므로 대길하다. (#) 12운성에서 사절을 만나는 것은 대흉하고 장생, 제왕을 만나는 것은 대길하다.

(5) 봄에 출생한 화(火) = 목(木)이 많으면 火의 세력을 키워 좋다. (#) 화성(火性)인 경우는 木生火인 木이 있으면 좋고 많으면 불길하다. 木이 많으면 火가 염상(炎上)한다. (#) 수(水)가 있어서 화(火)를 조절해 주는 것이 좋다. 水가 많으면 火가 소멸되므로 불길하다. (#) 토(土)가 많으면 炎上하므로 불길하다. (#) 金은 재성(財星)이다. 화(火)에 의해 제련되면 재(財)가 활동한다. 금(金)이 많아도 좋다.

(6) 여름에 출생한 화(火) = 극열한 火이므로 수(水)가 있으면 炎上을 면한다. (#) 木은 염상을 돕기 때문에 불길하다. (#) 금(金)은 재성(財星)이며 火에 의해 제련되어 재운이 좋다. (3) 土는 식신 상관으로서 土가 있으면 수확이 많다. (#) 金과 土가 길하다. 水가 없고 木운이 오면 木이 火의 염상을 돕기 때문에 재액이 있다.

(7) 가을에 출생한 화(火) = 火가 휴수(休囚)하게 되므로 木生火인 목(木0의 도움을 받아 대길하다. (#) 수(水)인 극과 만나면 불이 꺼지기 때문에 불길하다. (#) 토(土)가 많으면 약한 불이 싸여지고 많아서 대흉하다. (#) 金이 많으면 金生水로 수(水)를 도와 불길하다. (#) 목(木)은 약해져 있는 화(火)를 도우므로 목(木)은 많을수록 좋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