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시장 남유진)에서는 7월 23일 15:30, 산동농협4공단지점 2층 회의실에서 남유진 구미시장을 비롯하여 변우정 도의원, 김영호 시의회 부의장, 황경환 전 의장, 윤종호 의원 등 지역구 의원과 경상북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 및 지역주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구미디지털산업지구(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변경에 따른 주민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번 설명회는 지난 2008년 5월 6일 구미경제자유구역이 지정·고시된 이래 사업시행자인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기능제고 및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하여 기존 개발계획을 보완·검토한 결과를 반영한 개발계획 변경(안)을 경상북도에 제출한 것에 따른 것으로 변경된 개발계획에 대하여 지역주민의 이해를 돕고 의견을 수렴하고자 마련한 것이다. 새로이 변경된 "구미디지털산업지구" 개발계획에는 지형상 개발이 불가능한 자연녹지지역 일부를 제척시키고, 효율적인 토지이용을 위해 제방을 경계로 남측지구계를 조정하여 총 사업면적을 기존 6,241천㎡(189만평)에서 4,705천㎡(약142만평)으로 조정하였다. 토지이용계획을 보면 ▲생산시설 면적은 1,644천㎡(50만평)으로 기존 1,205천㎡(37만평)보다 439천㎡(13만평)를 증가하였고, ▲녹지시설은 당초 1,750천㎡에서 545천㎡로, ▲국제학교는 131천㎡에서 15천㎡로, ▲공공청사는 59천㎡에서 21천㎡로 현실성을 고려하여 축소된 반면, ▲당초 계획에는 없었던 광장 11천㎡, 도서관 4천㎡, 종교시설 7천㎡ 등 문화공간을 신규지정 하는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다. "구미디지털산업지구(경제자유구역)" 조성은 지식기반제조업 기능수행이 가능한 전업종을 유치대상으로, 외국인 학교, 외국병원 등의 설립이 허용됨으로써 생산유발 2~3조원, 부가가치 1조원, 고용유발 4~6만 명이 예상되는 국책사업이다. 이날 설명회에서 남유진 구미시장은 “경제자유구역 조성은 구미공단 40년 만에 제2의 도약기를 맞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며 기대감을 나타내는 한편, “대상지역 주민들의 토지보상·이주대책 등의 문제에 있어서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조하여 불이익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