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대의 農道 !

  • 등록 2016.09.29 10:23:06
크게보기

통계청, ‘2015 농림어업총조사 확정결과’(2015.12.1.기준)발표
경북의 농가 · 농가인구 8만가구 41만명 ‘전국 1위’
농축산물 1억원이상 판매 농가 4,788가구 ‘전국 1위’
성주군 649가구로 제주 서귀포(881가구)에 이어 시군단위 ‘전국 2위’

지난해 12월 통계청과 시 · 도가 공동으로 전국의 농가를 직접 방문해 조사한‘2015 농림어업총조사의 확정결과가 발표에 따르면, 도내 농가는 185천가구(전국 1,089천가구의 17.0%), 농가인구는 410천명(전국 2,569천명의 16.0%)으로 각각 전국 1위로 나타났다.

 

농축산물 판매금액별 농가현황을 살펴보면, 경북의 1억원 이상 판매 농가는 4,788가구로 전국 29,259가구의 16.4%를 차지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고소득 농가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군 단위로는 성주군이 649가구로 제주 서귀포시(881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고소득 농가가 많았다. 한편, 전국 50위 내에 상주, 의성, 김천, 영천, 영주, 안동, 경주 등 다수의 도내 시군이 포함됐다.

 

경북도 농업정책과는 고소득 농가가 경북에 많은 이유는 농업의 6산업화 시책을 확대 추진해 부가가치를 높이고, 공동경영 조직체를 확대 육성해 생산비는 줄이고 품질은 고급화 하는 등 농업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어우러진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경영형태에 따라 세부적으로 농가현황을 보면, 경북의 농가는 주로 논벼, 과수, 채소·산나물, 식량작물, 축산의 순으로 농업을 경영하며, 그 중 과수(전국의 32.5%), 약용작물(전국의 24.1%), 축산(전국의 18.9%) 고소득 작물의 생산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가수 대비 농기계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이러한 농가경영형태에 맞추어 경운기 61.6%(전국48.7%), 관리기 52.3%(전국33.9%), 과수SS분무기 11.9%(전국5.3%)로 주요농기계의 보급률이 전국 1위를 보이고 있다.

 

도내 임가임가인구도 전국 최고수준으로 임가 21천가구로 전국(91천가구)23.7%, 임가인구는 49천명으로 전국(217천명)22.7%로 나타났으며, 시군단위에서는 경북 청도군(4,393가구)과 상주시(3,498가구)가 전국 임가규모 1, 2위를 보였다.

 

임가를 경영형태별로 살펴보면, 임가 중 88.1%( 19천가구)가 겸업가구로 대부분(20천가구, 94%)이 산림이나 밭에 임산물을 재배하는 재배 임업을 경영하며, 주로 떫은 감, 약용작물, 대추, 산나물, 호두 등을 재배한다.

 

그 외 8.9%의 임가(1,902가구)가 채취업(1,200가구), 육림업, 벌목업, 양묘업의 순으로 비재배 임업을 경영하고 있으며, 채취업 주요 임산물은 송이버섯, 기타버섯, 기타산나물, 수액류, 취나물, 고사리, 열매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북 어가가 분포한 시군은 포항, 경주, 영천, 영덕, 울진, 울릉군으로 3,017가구이며, 그 중 1,747가구(57.9%)가 겸업하고 있고 2,891가구(95.8%)가 어로어업에 종사한다.

 

도내 수산물 1억원 이상 판매금액 어가는 560가구, 어선 보유 가구 2,127가구로 주된 어획 품종은 어류, 연체동물류, 해조류, 갑각류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해수면어업 어가는 239가구이다.

 

김창섭 기자 kgnews@hanmail.net
< 저작권자 © 구미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구미일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장주소 : 경북 구미시 상사동로 167-1, 107호(사곡동) Fax. (054)975-8523 | H.P 010-3431-7713 | E-mail : kgnews@hanmail.net 발행인 : 이안성 | 편집인 : 이안성 | 청소년 보호책임자 :김창섭 | 등록번호 : 경북 아 00052 | 신문등록일 : 2007년 8월 7일 Copyright ⓒ 2009 구미일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