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방의 감초 국내 첫 품종 나왔네요

  • 등록 2014.07.12 12:44:15
크게보기

‘약방의 감초’ 국내 첫 품종 나왔네요

 

 

국내 수요가 가장 많은 약용 작물 ‘감초’의 국내 자급률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보급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한약재와 식품용으로 국내 수요량이 가장 많은 약용 작물 감초의 새 품종 ‘원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감초의 국내 생산은 48ha(386톤, 2012년)로 국내 자급률이 5% 이하로 아주 낮으며, 연간 95%에 해당되는 3,753천 달러(2010∼2012년 평균)를 수입하고 있다.

 

 

이에 농촌진흥청에서는 약 9년에 걸쳐 국내외 유전자원을 수집해 특성 평가를 거친 후 감초 기원 식물인 만주 감초(G. uralensis)와 유럽 감초(G. glabra)의 단점을 보완한 새 품종 ‘원감’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감초 새 품종 ‘원감’은 만주 감초보다 줄기가 곧고 굵어 쓰러짐에 강하다. 뿌리 길이, 굵기와 뿌리수가 만주 감초보다 많고 수확량도 359kg/10a로 만주 감초보다 2.27배 많이 생산된다.

 

 

또한, 대표적인 감초 약효 성분인 글리시리진1) 함량이 3.96%로 만주 감초(1.90%) 보다 월등히 높은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 감초 재배는 1997년 중국에서 종자를 들여와 시작됐으며, 현재 농가에서 재배하는 품종은 만주 감초(Glycyrrhiza uralensis)다.

 

 

이 만주 감초는 국내 재배 시 약효 성분인 글리시리진 함량이 2.0% 수준으로 낮고 수량이 적은 것이 문제다.

 

 

개발한 새 품종 감초 ‘원감’은 종묘 증식 과정을 거쳐 2015년부터 전국 약용 작물 주산지에 보급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 차선우 과장은 “이번에 개발한 감초 새 품종은 수량성, 재배안전성, 기능성분이 우수한 품종으로 앞으로 안정적인 보급이 이뤄진다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고 전했다.

 

 

1)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은 감초 뿌리에 함유된 물질로 항알레르기성, 항산화성, 항궤양성, 항바이러스성 및 항암성과 같은 생리 활성을 가지고 있음. 또한, 단맛이 많아 식품과 의약품 등에 사용되고 있음. 문의 : 농촌진흥청 약용작물과장 차선우, 약용작물과 박춘근 043-871-5505

 

 

사진 출처 - 농촌진흥청

권우상 기자 wskwan04@hanmail.net

권우상 기자 lsh8589@hanmail.net
< 저작권자 © 구미일보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구미일보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 등을 금합니다.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장주소 : 경북 구미시 상사동로 167-1, 107호(사곡동) Fax. (054)975-8523 | H.P 010-3431-7713 | E-mail : kgnews@hanmail.net 발행인 : 이안성 | 편집인 : 이안성 | 청소년 보호책임자 :김창섭 | 등록번호 : 경북 아 00052 | 신문등록일 : 2007년 8월 7일 Copyright ⓒ 2009 구미일보 All rights reserved.